답변 | 어머님들께서 많이 문의하시는 질문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해요 만5세~6세경 첫 영구치는 대부분 아래 앞니부터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 때 유치는 빠지지 않았는데 영구치가 유치보다 안쪽에서 보이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아래 앞니 영구치는 대부분 처음 나올 때는 약간 안쪽으로 위치했다가 나중에 점점 앞쪽으로 펴지면서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경우 조기에 유치를 발치하지 않고 유치가 흔들릴 때까지 기다렸다가 발치해주어도 결과적으로 영구치는 앞쪽으로 나오면서 펴지게 되어 있습니다. 단지 영구치가 유치와 같은 높이까지 나왔는데 유치가 흔들리지 않는 경우는 마취 후 유치를 발치해주어야 합니다. 유치가 정상적으로 뿌리가 녹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유치가 발치된 공간이 있는 경우 아래 앞니는 혀의 움직임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앞으로 이동합니다. 아래 앞니가 삐뚤삐뚤 할 지 아니면 가지런할 지 여부는 유치를 발치해주는 시기와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대신 유치보다 큰 영구치가 나란히 배열 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잇몸뼈에 존재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아래 앞니의 배열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아래 사진들을 보면 더 쉽게 이해되실거에요 아래앞니가 안쪽에서 나왔어요! ![]() 2-3개월 후 체크했더니 안쪽에 있던치아가 이쁘게 펴졌어요 ![]() 이 어린이의 경우 아래 앞니가 삐둘해졌는데요, 그 원인은 잇몸뼈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 |
---|
답변 | 신생아 ~ 생후6개월 보통 생후 6개월까지는 차이가 없지만, 치아가 나올 자리의 뼈와 잇몸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잇몸속에서 이가 나려고 준비하는 시기로 잇몸마사지를 자주 해주면 혈액순환이 잘되 잇몸이 튼튼해지고 건강한 유치가 나옵니다. 마사지를 할때는 엄마 손가락을 아기 입안에 넣고 문지르거나 부드러운 가제 수건으로 두드려 주면 됩니다. 이가 나느라 잇몸이 근질근질하므로 치아발육기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보조제품을 사용하지 않은 어린이에서도 치아가 정상적으로 잘 나고 있는 경우를 보면, 과학적인 분석으로 입각한 파나단을 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드물게 생후 1개월 이내에 이가 나오거나 (신생치)출생시부터 치아가 존재하는 경우(선천치)가 있는데 다른문제는 없지만 모유를 먹이는 어머니들에게 어려움을 야기하거나 아기입안에는 상처가 날 수 있고 뿌리 형성이 덜되어 많이 흔들리고, 탈락되어 아기가 삼킬수도 있으므로 치과에서 상담을 받는게 좋습니다. |
---|
답변 | 유치(젖니)가 나오는 순서와 시기 수유 후에는 보리차를 마시게 하거나 젖은 거즈 등으로 침을 닦아 주어야 합니다. 우유병을 물린채로 잠을 재우시면 우유병 우식증으로 고생하게 된다는 점 꼭 기엇하세요. |
---|
답변 | 유치(젖니)가 나오는 순서와 시기 불소의 예방효과는 보통 50~60%정도로 보고 있으므로 2개 썩을게 한개 썩을 정도로 억제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외에 타액분비를 촉진하고 치태생성과 세균활동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으므로 요즘 자일리톨을 이용한 충치예방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젖니의 잇몸에 가까운 부위부터 노랗게 삭기 시작해서 위 앞니와 아래 어금니가 급속하게 썩는 것이 특징입니다. 까만 충치보다 속도가 빨라서 그냥 두었다가는 치아 내 신경 손상등으로 인해서 아이가 나중에 고생하게 됩니다. 이런경우 한달 정도 시간을 두고 점차 보리차를 희석시켜나가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칫솔을 잘 다루지 못하고 금새 잇솔질을 끝내버립니다. 일단 스스로 닦게 내버려두신 후 다시 한번 닦아주세요.
자연히 영구치가 나올 자리가 부족하게 되어 엇니가 될 수 있습니다.
안접면충치(치아사이가 껏을 경우)인 경우는 치아사이가 자꾸좁아지고, 더구나 일찍 뻬게된 경우는 인접치아들이 빈공간으로 몰려 영구치 날 자리가 부족하여 덧니를 유발합니다. 치료를 하지 않아 급성으로 신경이 감염된 경우 얼굴이 심하게 붓고 전신적인 문제까지 유발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미적인 문제때문에 일부 어린이들은 잘 웃지 않으려 하는 등 심리적인 문제도 야기 할 수 있죠. |
---|
답변 | 젖니를 뺏는데 이가 안나요? 젖니는 교활 될 시기가 되면 저절로 흔들리게 됩니다. 이는 영구치가 젖니의 뿌리를 녹이면서 올라오기 때문에 젖니가 흔들려서 뺐다면 영구치가 밑에서 제대로 올라오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와 반대로 치아를 갈아야 할 시기가 훨씬 지나도 젖니가 흔들리지 않으면 젖니 밑에 있는 영구치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는 추측을 할 수 있습니다. 젖니가 빠진 뒤 이가 나는 시기는 어린이마다 차이가 있으며, 만일 수개월동안 치아가 나지 않으면 치과에서 X-Ray검사를 해서 영구치의 유무를 확인하고 필요한 처치로 맹출을 유도 할 수 있습니다. 앞니가 벌어져서 나올 경우 앞니가 벌어져서 나오는 것은 대부분 정상적인 과정입니다. 이는 송곳니가 뼈속ㅇ서 앞니의 뿌리부분을 밀면서 생기는 일시적인 현상이며 송곳니가 입안으로 나오면, 앞니 사이공간도 닫히게 됩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앞니 사이에 순소대라 하는 섬유질 조직이 많은 경우는 저절로 모이기 어려우므로 수술적제거가 필요 할 수 있고, 벌어진 정도가 3~4mm이상으로 큰 경우는 뼈속에 과잉치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X-Ray촬영을 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론 송곳니가 난 뒤에도 공간이 닫히지 않으면 교정적 치료 등의 평가를 위해 치과에 가서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
---|
답변 | 외모에 신경쓸 나이죠? |
---|
답변 | 많은 분들이 어린 자녀의 이가 많이 썩어도 나중에 영구치가 날 것이니 치과치료를 하지 않아도 상관없다고 생각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그 이유는 첫째, 정상적인 경우에 영구치는 유치의 뿌리를 흡수하면서 올라옵니다. 따라서 젖니는 영구치가 제대로 올라올 수 있도록 공간을 유지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 젖니가 일찍 썩거나 빠져버리게 되면(앞니의 경우 만 4세이전, 어금니의 경우 만 6세이전) 영구치의 맹출 시기가 비정상적으로 될 수 있고 뽑은 자리 옆에 있는 젖니들이 기울어져서 영구치가 날 공간을 막아버리게 되어 덧니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둘째, 이가 아프면 어린이는 음식을 씹는데 고통을 느끼므로 자연히 부드러운 음식만을 찾거나 먹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균형 있는 음식물섭취가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 아이의 전체적인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셋째, 충치로 인하여 앞니들이 많이 빠지게 되면 발음하는데 불편하고 어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 성인이 되어서도 발음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넷째, 성격형성이나 사회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가 없어서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는 경우에 자신의 외모에 대한 콤플렉스를 가지게 되며 자신감을 잃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는 것을 싫어하게 될 수 있습니다 |
---|
답변 | 대개 7개월에서 9개월 사이에 아기의 아래 앞니 2개가 나기 시작합니다.
|
---|
답변 | 진정 요법은 약물을 사용하여 치과 치료에 공포를 느끼는 아이들이 치료를 잘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어린이가 치과치료를 거부할 때 공포를 줄여주기 위해 대화나 기분전환, 모델링, 긍정적 강화 등 비 약물적인 방법으로 협조를 얻지 못한다면 진정치료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진정치료는 전신마취와는 다르며 진정정도에 따라 의식하진정과 수면치료로 나뉠 수 있습니다. N2O는 약간 달콤한 냄새를 지닌 무색의 불활성 기체로 공기보다 약간 무겁습니다. |
---|
답변 | 불소는 치아의 구조를 더욱 단단하게 해주거나 세균의 효소활동을 억제하여 충치가 잘 생기지 않도록 해줍니다.
|
---|